
AI RUSH 끝 7월부터 8월 내내 2달간 갈아넣은 AI RUSH가 끝났다. pytorch 시작한지 단 3일만에 pytorch로 모델링을 해야할 줄은 상상도 못했는데... 다행히도 1라운드는 통과했고 덕분에 2라운드에 막차를 탈 수 있었다. 이건 지난 근황에 쓴 내용이고... 바로 2라운드가 시작됬다. 그리고 나는 계단에서 발목을 다쳤고 정형외과에 실려가야했다(...) 정말 내가 본 마지막 내 발목의 상황은 정확히 발목관절과 계단이 거의 직교하는 모습이였고 (내적하면 거진 0이 나올듯) 드르르르륵 하는 소리가 내 발목에서 났다. 담날 3분거리에 있는 정형외과까지 택시타고 가는 사태가 발발하긴 했지만 좀 쉬면서 대회하다보니 걸을만해졌고 단 5일만에 바로 의사몰래 깁스풀고 네이버로 출퇴근을 시작했다. (지..

대회 참가했던거 정리는 해야하는데 당장 내일부터 2라운드 시작이라 정신이 없다. 1라운드는 예상외로 좋은 결과가 나와서 2주간 삽질한거를 매꾸며 진출했다. 그나저나 덕분에 내 여름 휴가 계획은 증발,,, 그래도 오늘 네이버 본사에 가서 오리엔테이션도 듣고 나름 동기부여 받고 왔다. 제 2 사옥인 1784 내부도 들어가서 네이버가 어떤 사업을 미래에 그리고 있는지도 들었고 근무 환경이나 서비스에 대해서도 많이 알게 됬다. 오는 길도 되게 쾌적하고 인프라도 좋아서 여기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가득...이지만... 사실 무엇보다도 중요한건 내 2라운드다. 매 라운드마다 안해본거만 잔뜩나와서 공부해야할게 마구마구 생긴다. Sequential Data를 되게 안다뤄본게 후회가 되기시작... 근데 공부 시작한지 얼..

되게 요즘 포스팅이 뜸했다. 공부한 내용들이 내용정리는 둘째치고 따라가기 버거운 내용들이 많았기도 했지만 많은 일들이 있었다. 1. 네이버 AI RUSH 2022에 참가하게 되었다. 아직 실력이 상당히 밥이지만 서류와 코테를 뚫은 것이 더 기쁘다. 정말 내 git에 암것도 없는데 잘 봐주셔서 다행이다,,, CV쪽으로 플젝을 준비중이었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목표는 1R 통과. 2. SKT 인턴은 나가리 코테를 동대문구청장 검도대회 나가서 볼때부터 불길했다만 그래도 코테를 뚫었길래 오잉? 하고 면접까지 경험삼아 봤다. 당연히 분야가 여러개일줄 알았는데,,, 그동안 공부한 CV가 없었다. 왠 멀티모달 분야밖에 없어서 첨부터 부랴부랴 공부했으니 떨어지는 것은 당연,,, 했지만 얻어간게 많았다. 우선 Tr..

19년도 추계 서부리그 이후로 처음 열리는 대회이자 전역하고 처음으로 참가하는 대회였습니다. 개인전은 안나가고 단체전 2번째 순서로 참가했고 결론부터 말하면 3위로 입상했습니다. 23년 만에 입상이라는데 이런 좋은 결과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특히 동아리 복귀한지 얼마 안됬는데도 A팀에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것도 너무 감사... 2달전 검도 다시 시작했을땐 정말 큰 생각은 없었고 대회도 가볍게 나가려고 했었는데 이런 결과를 얻어서 아직도 기분이 들떠있네요. 단체전인 만큼 최대한 뒷순서에 피해 안주려고 승리 가져오면서 큰 무리 안하려고 했는데 잘 먹힌것 같아서 다행입니다. 시합출전 확정된 1달전부터 1인분은 해내고 싶어서 오후 6시부터 밤 10시까지 주5일제로 연습했는데 4판 모두 이길수 있..

원래대로라면 kaggle competition 정리글에 들어가야 할 내용이지만 그냥 이래저래 생각드는게 있어서 Daily에다 끄적이는 글 얼마나 작업들이 자동화 되는 것일까 이젠 하다하다 모델 찾고 튜닝을 진행하는 것 마저 자동으로 진행해주는 Framework가 나왔고, kaggle 상위권 수사장들 사이에서도 주로 이용되고 있다. 나는 시작한지 얼마안되서 여러 모델들을 일일이 만들고 GridSearchCV로 최적의 파라미터를 찾았는데... 기분이 정말 묘하다. 되게 뭐랄까, 새로운 모델을 시도해보고 공부하면서 파라미터를 튜닝하면서 오버피팅과 언더피팅 사이에서 머리 싸매고 있더라도 좋았는데 뭔가 즐거움이 증발해버린 기분... 이제는 데이터 처리만 잘 해준다면 나머지는 프레임워크에게 맡겨버리면 된다니... ..

3월도 끝나가는 겸 오랜만에 써보는 자유글 검도가 재밌다. 7일중 5~6일을 출석중이니 말 다한것 같다. 이렇게 뭔가 진심으로 열중해서 하는게 생긴것이 반갑다. PS는 맨날 어디선가 해메는 기분이 들지만 검도는 그래도 틀린 점이 보이고 고쳐나가면서 자세가 좋아지는게 보인다. 되게 조언해주시는 분들도 많고 분위기도 활기차고 행복하다. 기술도 기술이지만 사람 상호간의 대한 예의나 배려, 기본적인 자세에 대해 늘 생각하게 만든다. 내 성격의 8할은 검도에서 나왔나보다 (엄마의 마스터 플랜이 성공했다) AI 공부도 재밌다. 통계를 좋아했던 것도 있고 원래부터 관심분야여서 그런지 뭔가 자발적으로 꾸준히 공부하게 된다. kaggle을 시작하면서 경쟁 심리도 생기고 무엇보다 커뮤니티가 전세계 단위고 활발해서 좋은 것..

말년을 알고리즘과 함께... 기나긴 군생활이 끝나갈 때 즈음 알고리즘 캠프가 시작되었고 12주간의 알고리즘 캠프는 콘테스트와 함께 막을 내렸다. 누군가가 나한테 와서 "너는 전역하고 1달동안 알고리즘에 매달려있을 거야!" 하면 뭔 소리냐고 했겠지만 현실이 되었다. 말년에 접어들고 전역하고 뭐하지 와 같은 희망고문과 무지 성 백준 문제풀이가 계속되던 도중 캠프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전역하고 늘어지면 답도 없겠다는 생각이 들어 일단 신청하고 봤다. 사실 그동안 문제들을 풀던 것을 생각하면 죄다 그래프와 DP에 몰빵 돼 있었다. 그와 다르게 정수론과 문자열 알고리즘은 관심을 안 가지다 보니 거의 문외한에 가까웠다. 이외에도 내 코드들을 들여다보면.... 참 비효율적으로 짠다는 느낌이 컸다. 이러니 Lazy S..

이렇게 공개로 글쓰는건 오랜만... 공부 방 계약도 끝났고 옷도 장만하고 알고캠프와 AI스터디도 순항중에 있다. 다만 codeforce하고 atcoder를 최근에 엄청 말아먹었다. 둘다 참가횟수가 합쳐서 5회 언저리라지만 greedy한 접근을 되게 못하는 것 같다. 되게 자료구조나 적용할 알고리즘들을 머리 싸매고 접근하려다가 막상 끝나고 나면 한발자국 뒤로 물러나 관찰하면 짧은 코드로도 해결되는 것들이었다. 아 memset(vis,0,sizeof(vis)); fill_n(vis,n,0); 이 두놈땜에 2문제를 날려먹었다. 첫 술에 배부를 수 없다지만 잘하는 사람들보면 초반부터 휙휙 점수 올라가던데 부럽.... 금욜과 주말에는 AI 공부만 하려하지만 이런 일이 있을 때마다 집중하기가 힘들다. 균형을 맞추면..
- Total
- Today
- Yesterday